[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39대 세움 총학회 교의학회 세미나]
- 세대주의(dispensationalism)는 무엇이 문제냐 라고 언급하기 전에 어떤 유형의 세대주의냐를 먼저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.(왜냐면 세대주의가 다 나쁜 것이 아니므로?)
- 세대주의 신학은 영국 형제교회 지도자 존 넬슨 다비의 의해 시작했으며, 문헌은 미국의 스코트필드 관주 성경이 대표적.
- 종말론에 따라 전천년설/후천년설/무천년설 나뉨
- 인터콥의 백투예루살렘(BTJ) 운동은 세대주의 신학 배경으로 진행
- 세대주의자들은 반드시 전천년주의자, but 개혁주의(자)는 종말론적 무천년설을 거의 대부분 지지
- 세대주의는 전통적(고전적) 세대주의 / 점진적 세대주의 / 수정된 세대주의로 조금씩 구분됨
- 전통적 세대주의는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끝나야 한다, 시한부 종말론, 이중재림, 환란전 휴거 등 주장 / 그러나 우리나라 기독교 선교에 기여한 부분 있음(19세기 개혁주의 장로교 선교사들은 대부분 세대주의 영향을 받음, 우리나라 대표적 예는 주기철 목사님)
- 성경해석은 개혁주의의 기본인 역사적 성경해석 보다는 근본주의적인 축자영감설(문자주의) 바탕 아래 극단적인 알레고리적 해석을 겸함
결론
- 어떤 유형의 세대주의인지 파악한 뒤에 개혁주의와의 공통점과 비판점은 구별하여 인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.